머신러닝 교과서 10장
선형 회귀 모델에 대해 알아보자. 보스턴 집 가격 예측 문제를 예시로 들어서 설명하겠다.
2025/01/09
Jinsoolve.
Categories
Tags
1월 안에는 꼭...
About
해당 내용은 머신러닝 교과서 with 파이썬, 사이킷런, 텐서플로의 4장 내용을 기반으로 작성되었다.
isnull().sum()등을 이용하여 누락된 값을 확인한다.
누락된 값이 있는 샘플(행)이나 특성(열)을 제거한다.
제거하면 데이터가 너무 적어질 수 있으니 대체를 시도하는 게 일반적이다.
누락값 대체는 fillna나 SimpleImputer를 주로 사용해서 대체한다.
SimpleImputer에는 axis 파라미터가 없으므로 행 방향을 다루고 싶다면 FunctionTransformer를 사용할 수 있다.
누락값은 대체로 평균값이나 최빈값으로 대체해준다.
범주형 데이터를 바꿀 때는 1) 순서가 있는 특성과 2) 순서가 없는 특성 을 나눠서 다뤄야 한다.
size = M, L, XL 처럼 순서가 있는 특성들이 있다. 파이썬의 dictionary를 이용해 매핑해준다.
1size_mapping = {'XL': 3, 2 'L': 2, 3 'M': 1} 4 5df['size'] = df['size'].map(size_mapping) 6df
간혹, 클래스 레이블(=타깃값)이 정수로 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있다. 마찬가지로 매핑으로 해결한다.
1import numpy as np 2 3# 클래스 레이블을 문자열에서 정수로 바꾸기 위해 4# 매핑 딕셔너리를 만듭니다 5class_mapping = {label: idx for idx, label in enumerate(np.unique(df['classlabel']))} 6class_mapping 7 8# 클래스 레이블을 문자열에서 정수로 바꿉니다 9df['classlabel'] = df['classlabel'].map(class_mapping) 10df
1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 2 3# 사이킷런의 LabelEncoder을 사용한 레이블 인코딩 4class_le = LabelEncoder() 5y = class_le.fit_transform(df['classlabel'].values) 6y
2가지 방식으로 클래스 레이블 인코딩이 가능하다
color = blue, green, red 처럼 순서가 없는 특성들이 있다.
하지만 순서가 있는 특성처럼 매핑하면 값의 크기 차이가 생기고 이는 데이터의 노이즈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다.
이는 one-hot encoding 을 이용해 해결한다.
One-Hot Encoding이란?
이진법을 사용해 encoding하는 기법이다.
color = blue, green, red를 one-hot encoding하면, color_blue, color_green, color_red 특성이 만들어진다.
그래서 [color_blue, color_green, color_red]의 값이 [1,0,0] = blue, [0,1,0] = green, [0,0,1] = red가 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때 2개만 있어도 색 표현이 가능하다. [1,0] = blue, [0,1] = green, [0,0] = red 이렇게 생각하면 되기 때문이다.
다중 공산성으로 인해서 1개를 삭제해 주는 것이 좋다.
(다중 공산성이란, 특성 간의 상관관계가 높아서 (역행렬을 계산하기 어려워진다) 계산이 불안정해지는 현상을 뜻한다.)
1# 하나의 열을 변경할 때 2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OneHotEncoder 3 4X = df[['color', 'size', 'price']].values 5color_ohe = OneHotEncoder() 6color_ohe.fit_transform(X[:, 0].reshape(-1, 1)).toarray() 7 8# 여러 개의 열 변경할 때 9from sklearn.compose import ColumnTransformer 10 11X = df[['color', 'size', 'price']].values 12c_transf = ColumnTransformer([ ('onehot', OneHotEncoder(), [0]), 13 ('nothing', 'passthrough', [1, 2])]) 14c_transf.fit_transform(X)
근데 이것보다는 pandas의 get_dummies() 함수를 사용하는 것이 훨씬 쉽다.
1# columns=['size']: 매개변수로 변환하려는 특성을 구체적으로 정할 수 있다. 2# drop_first=True: one-hot encoding으로 생성되는 첫번째 특성을 삭 제한다. 3pd.get_dummies(df[['price', 'color', 'size']], columns=['size'], drop_first=True)
1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 2 3X, y = df_wine.iloc[:, 1:].values, df_wine.iloc[:, 0].values 4 5# test_size=0.3: train:test = 70:30으로 나눈다. 6# stratify=y: 각 클래스 레이블의 분포가 최대한 균일하도록 데이터를 분할한다. 7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8 train_test_split(X, y, 9 test_size=0.3, 10 random_state=0, 11 stratify=y)
과대적합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다.
훈련 데이터를 더 수집하는 것은 불가능할 때가 많다. 특성 선택을 통해 차원을 축소하면 데이터에 학습되는 파라미터가 줄어들어 모델이 간단해진다.
L1은 1차식이기 떄문에 다이아몬드 형태로 그려진다. 그렇기 때문에 축에 가깝게 최적점이 형성되고 이것이 희소성(데이터가 0이나 매우 작 은 값으로 구성)이 나타나는 이유다.
가 커질수록 규제가 강해지므로 이는 원을 작게 만든다.
그리디하게 관련이 가장 높은 특성을 선택하는 알고리즘이다.
1from sklearn.feature_selection import SequentialFeatureSelector 2 3sfs = SequentialFeatureSelector(knn, n_features_to_select=n_features, n_jobs=-1) 4sfs.fit(X_train_std, y_train) 5f_mask = sfs.support_ #선택된 특성의 True, False가 저장되어 있음 6knn.fit(X_train_std[: f_mask], y_train)
원래는 직접 Class를 작성했는데 최근에 추가된 SequentialFeatureSelector를 사용하면 편할 듯 하다.
RandomForestClassifer 에서는 모든 결정 트리에 불순도 감소로 특성 중요도 측정 가능하다.
이는 RandomForestClassifer 모델을 훈련한 후 feature_importances_ 속성에서 확인 가능하다.
랜덤 포레스트로 모델 해석을 한다면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
두 개 이상의 특성이 상관관계가 매우 높다면 하나의 특성은 매우 높은 순위를 갖지만 다른 특성 정보는 잡아내지 못할 수 있다.
학습된 랜덤 포레스트의 특성 중요도를 이용하여 특성을 골라낸다. threshold를 설정해서 그 이상으로 크다면 이를 골라낸다.
1from sklearn.feature_selection import SelectFromModel 2 3sfm = SelectFromModel(forest, threshold=0.1, prefit=True) 4X_selected = sfm.transform(X_train) 5print('이 임계 조건을 만족하는 샘플의 수:', 6 X_selected.shape[1])
RFE를 사용하여 선택한 특성의 개수가 남을 때까지 재귀적으로 삭제한다.
rfe.ranking_ 속성에는 기반모델이 선택한 특성의 우선순위 값이 들어있다.
훈련된 기반 모델(random forest)는 estimator_ 속성에 있다.
rfe.estimator_.importances_에는 중요도 값이 들어있다.
1from sklearn.feature_selection import RFE 2 3rfe = RFE(forest, n_features_to_select=5) 4rfe.fit(X_train, y_train) 5 6rfe.ranking_ # 기반모델이 선택한 중요도 순위가 저장되어 있다. 1을 가지면 선택된 것이다. 7f_mask = rfe.support_ # 선택된 특성에 대한 True, False 8importances = rfe.estimator_.feature_importances_ # 중요도 값이 저장되어 있다. 9indices = np.argsort(importances)[::-1]
선형 회귀 모델에 대해 알아보자. 보스턴 집 가격 예측 문제를 예시로 들어서 설명하겠다.
2025/01/09
레이블이 없는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비슷한 데이터들끼리 그룹으로 묶을 것이다.이를 군집으로 묶는다하여 클러스터링(clustering)이라 한다. - k-평균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클러스터 중심 찾기- 상향식 방법으로 계층적 군집 트리 만들기- 밀집도 기반의 군집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임의 모야을 가진 대상 구분하기
2025/01/09
차원 축소 기법에 대해서 알아보자.
2025/01/09
모델 평가와 하이퍼 파라미터 튜닝의 모범 사례에 대해서
2025/0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