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드디어 2024년의 여름방학이 다가왔다.
군 휴학과 추가 1년 휴학으로 인해 3년 만의 복학 후 첫 학기라 너무 어색했지만 그래도 나름 잘 해쳐온 것 같다.
너무 오랜만에 대학교 학점 따기를 해서 중간고사 때는 많이 헤맸지만 다행히 기말고사 때 재활이 돼서 많이 복구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중간고사 첫 시험 때 애플펜슬만 들고 간 것은... 허허)
3학년 1학기 때 경험한 바에 따르면 학기 중에는 개인 공부에 몰입할 수 있는 시간이 아무래도 줄어들 수 밖에 없었던 것 같다. 방학을 잘 활용하는 것이 내 실력적인 향상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시즌인 것 같다.
그만큼 방학 동안 시간활용을 잘 해서 최대한 많은 목표를 이뤄내야 할 것이다.
단순히 문제를 많이 풀고, 공부 시간을 늘리는 것도 좋지만 최근 내가 공부에 대해서 느끼는 것은 많이 고민하고, 많이 실패하고, 그 안에서 많은 것을 배우고, 그리고 그것들을 잘 정리해서 내 것으로 만드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것 같다.
지금까지 알고리즘에 (내 기준에) 나름 적지 않은 시간을 투자했지만 그 시간에 비해 실력이 아쉬운 것을 보면 확실히 이러한 부분들이 내게 부족했던 것 같다. 아무 생각없이 무작정 알고리즘을 푸는 것은 이제는 더 이상 크게 도움이 되지 않는 것 같다.
그 외로는, 공부 방법도 중요하지만 명확하고 현실 가능성이 있는 목표 또한 중요하다. 항상 열정적으로 무언가를 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현실적이고 명확한 목표는 꾸준히 일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 같다.
그런 다짐(?)들과 생각들을 쓰면서 스스로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이렇게 일기 비슷한 계획을 쓰게 되었다.
본론
방학동안 해야 할 분야는 다음과 같다.
- 알고리즘
- 머신러닝
- 영 어
일단 1,2번에 대부분의 시간을 투자하고, 3번의 경우 최대한 자투리 시간을 잘 활용하는 게 핵심인 것 같다.
알고리즘
알고리즘은 일단 개인적인 실력 향상과 팀 연습이 있는데, 팀 연습의 경우 방학동안 주 2회 정도 학회 랩실에 모여서 팀원들이랑 지속적으로 시간을 잡고 문제셋을 풀어보고 있다.
끝나고 나서는 피드백을 통해 어떤 점이 아쉬었고 어떤 점을 개선할 수 있는 지를 생각했다. 팀으로서 손발이 잘 안 맞는 경우는 사실 몇 번 해보니 어느 정도 해결이 되었는데, 역시 개인적인 실력이 향상이 시급함을 다시 한 번 느꼈다.
그럼 개인적인 실력은 어떻게 향상해야 할까에 대해 많은 고민을 했는데 다행히 raararaara 선배의 도움으로 가닥을 잡을 수 있게 되었다. 그의 어마무시한 알고리즘 실력 향상 커리큘럼을 듣고 나니... 내 실력 부족이 당연한 일이라는 걸 깨달았다. (주 3~4회의 버추얼과 그 코드의 리뷰 및 업솔빙, 그리고 typcial 문제들 계속 밀기 등...)
반성하고 초심으로 돌아가 차근차근 해 볼 예정이다.
1. 버추얼 및 라이브
주 2~3회의 버추얼 및 라이브를 생각하고 있다.
- 월요일 코포 버추얼 스터디
- 토요일 앳코더 라이브
- ?요일 코포 라이브
- leetcode weekly / biweekly contest
- codechef
1~3은 웬만하면 무조건 기회가 될 때마다 할 예정이고, 4~5번 같은 경우 업솔빙 및 typical 문제들 밀기 등을 한 후 시간이 남으면 할 예정이다.
2. 업솔빙 및 코드리뷰
업솔빙의 경우는 정말 시간이 많이 들지만 이것만큼 중요한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 결정적으로 실력이 늘려면 업솔빙을 제대로 해야 한다.
하지만 실력에 비해 너무 어려운 문제를 업솔빙하는 것도 사실 가성비(?)가 좋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런 문제의 경우, '그냥 그런 게 있대' 이런 식의 리뷰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